본문 바로가기

건축이야기/건축정보7

디지털 플랫폼 디지털 플랫폼 전통적 건축학은 오늘날의 복합적 문제에 대해 명확한 답변을 제시하기가 어렵다. 건축시공 분야에서 일어나고 있는 변화는 건축학 및 건축시공에 대한 사고의 변화와 연계되어 있다. 개방적 소스구조 및 A.N.D.I의 개발, 사용은 미래의 창조적 건축 시나리오중에서도 가장 개연성이 높은 것으로서, 엄청난 상황 변화를 초래할 것이다. 이는 건축과 예술 프로젝트를 학술적, 국제적으로 수행하여 복잡한 도시, 사회, 건축 문제들을 해결함으로써 프로젝트의 창조적 수준을 증가시키고 프로젝트의 인식, 설계, 기획, 시공, 실행 과정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증진시키는 인터넷 상의 운영시스템이 될 것이다. 디지털 플랫폼의 주안점은 기본적으로 두 가지로 데이터베이스 기반의 협동적 환경과 구축자들의 창조적 개발을 위한 끊.. 2020. 5. 19.
삼청각 삼 청 각 70,80년대 밀실정치의 산실로 알려졌던 삼청각이 시민들의 전통공간으로 사롭게 탄생하게 되었다.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에 위치한 삼청각은 수려한 경관으로 둘러싸인 입지적 요건으로 이번 리모델링은 기존의 경관과 건축물이 갖는 아름다움과 역사적 가치를 제고 하는 가운데 새로운 기능공간으로의 변모를 모색한 점이 특징적이다. 삼청각의 기능별구성은 관람집회, 문화, 교육, 숙박의 4개 부분을 유기적으로 연계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중앙에 위치한 일화당은 전통공연 및 국제 세미나 장으로 유하정은 판소리 학교, 청천/ 천추당은 다도를 체험하고 전통예절을 익히는 교육공간으로 바뀌었으며 취한당/동백헌은 전통객관으로 숙박기능을 담당하도록 구성되었다. 즉, 일화당이 다양한 공연을 위한 공간으로 자리 .. 2020. 5. 11.
흙건축의 현대화 흙건축의 현대화 오래전부터 흙은 다양한 방식으로 단점을 개선해 왔고, 현재에도 이러한 방식들은 유효하며 최근에는 현대적으로 재해석되어 활발히 이용되고 있다. 건축 재료로서 흙은 강도가 약하고, 물에 잘 풀리는 단점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흙을 적절히 잘 사용해야 핸대적으로 활용하기 용이하다. 흙건축은 지역에서 획득한 재료를 특별한 가공 없이 사용할 수 있어 최근의 지속가능한 개발에 가장 부합하는 건축 방식이다. 흙이 가지고 있는 자연적,지역적, 전통적 요소들은 건축 디자인 재료로 활발히 이용되게 하고 있고, 이것은 건축 재료로서 흙의 가치를 극대화시키고 있다. 흙은 현대 건축재료로서의 잠재 가능성과 가치를 수없이 많은 사례를 통해 보여주며, 흙건축을 통해 스스로 진화하고 있다. 현재에도 세계 .. 2020. 5. 9.
흙 건축 벽체 유형의 분류 흙 건축 벽체 유형의 분류 흙건축 벽체의 유형은 구축 방법과 공법의 전개에 따라 분류하며, 각 공법별로 사용되는 재료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 있다. 사용재료에 따른 재래식 방법과 현대적 방법인 고강도식으로 나누고, 구축 방법에 따라 개체식, 일체식, 보완식으로 나눈다. 현제 가장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것은 공법의 전개에 따른 흙건축 5대 공법으로 분류한다. 벽체에는 흙건축 5대 공법, 즉 흙쌓기 , 흙벽돌, 흙다짐, 흙타설, 흙미장으로 나누어 각 공법에 정의와 시공방법을 설명하고자 한다. 흙쌓기 공법은 BC 10세기 말에서 9세기 초에 중동 지역의 인류가 유목 생활을 멈추고 정착을 하며 시작되었다. 구축방식은 거의 맨손으로 작업이 이루어지며, 지역에 따라 흙의 입자가 너무 작거나 점토 성분이 많은 경우 천.. 2020. 5. 6.